컴포넌트 단위로 독립적인 블록들로 개발 방법을 이용하는 프레임 워크이며 앵귤러나 뷰 보다 인기가 많다고 한다.
SPA 의 장점과 그 이유.
MPA과 상반되는 개념으로, 로딩시 편하게 작동하고 리랜더링 되는 상황이 적다.
서버에 딱 1회 리소스를 요청한다.
그 이후에는 필요시 DATA만 받아와서 페이지를 수정해주는 방식으로 화면을 수정해 준다.
- 자연스러운 UX 구현
단점으로는 SEO에 약하다.
Search Engine Optimization
search engine이 html에서 서치 내용을 찾아야하는데 js로 구현되어있기에 찾을 수가 없다.
이런 상황을 보완하기 위해 Next.js를 배우는데.. 추후에 더 자세한 설명을 해주신다고 강의를 축약하셨다.
const 재할당 x 내부속성값 수정은 o
let 재할당o
*var 사용 자제를 요청한다.
이유로는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스코프 안에 console.log( a)도 찍히고 바깥 console.log( a)에도 찍힌다;
var는 block level scope가 아니기 때문에 전체에 영향을 끼친다.
얕은복사 -
이를 해결하기 위해 JSON.parse(JSON.strigify(obj));
배열로 다시 따로 저장해서
template Literals
NPM
Node Package Manager : 수많은 third-party 패키지들이 모여있는 집합소
npm에서 다운 받아 활용이 가능 비슷한 친구로는 yarn
npm : npm platform 그 자체
yarn : 그냥 패키지 관리자 npm과 호환성이 좋고 속도나 안정성 측면에서 npm보다 좋다
속도 : yarn
보안 : yarn (최근 npm 보안 업데이트도 크게 향상됨 ㄷㄷ)
놀랍게도 항상 npm만 써왔는데 yarn을 주로 쓰게 갑자기 되어서 신기했다.
기존에 작업한 페이지와 혼동이 오지 않게 주의 해야겠다.
새로운 팀을 만났다.
전공자 두 분, 부전공자 한 분, 나와 킹빈님 이렇게 구성되었다.
조장님으로 발탁되신 분은 공부 스타일 자체가 이상향이였다.
누구나 생각은 해볼 수 있지만 실천하기 쉽지않은 방법의 공부 스타일을 고수하고 계신다고 했다.
최대한 조장님을 지지할 생각이다.
나도 배워가는 부분이 많을 거로 생각되는 팀원 간의 대화시간이였다.
벌써부터 기대가 된다. react 강의는 반정도 들었는데 아직 어려운 부분은 없었다.
오전까지 1회독 해보고 js 문제 풀이와 개인작업을 진행해 봐야겠다. 설레인다.
21일차 TIL (개인 프로젝트 ToDoList / 후발대 OT) (0) | 2023.06.15 |
---|---|
20일차 TIL(React 기초반) (0) | 2023.06.14 |
18일차 TIL(semantic code) (0) | 2023.06.11 |
15일차 TIL(팀 프로젝트, localStorage) (0) | 2023.06.07 |
14일차(개인 프로젝트 리뷰, form tag, async, await) (0) | 2023.06.03 |